역할이 요구되게 된 배경
•
애자일/스프린트 방식으로 잦은 수정 환경
◦
테스트와 적용을 반복하고 수정이 잦은 환경에서는 해당 이슈에 관해 기획부터 디자인, 테스트까지 빠르게 대응하는 일이 잦기 때문에 두 사람을 거치는 것보다는 한 사람이 담당하는 것이 더욱 빠르고 확실한 방법일 것이다.
•
툴의 발전으로 짧아진 UI 구현 과정
◦
발전된 UI 툴로 ‘구현’ 시간이 줄었고 그만큼 ‘설계‘나 ‘경험 개선‘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을 수 있게 되었다.
국내 IT기업 채용공고를 통해 본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역할
•
합의된 비전에 맞춰 제품의 담당 파트를 직접 설계하고 결과물을 낸 후 리서치와 테스트의 반복을 통해 개선해 나가는 총체적 역할
갑자기 늘어난 역할은 어떻게 보완될까
•
디자인 시스템으로 서포트
◦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채용하는 규모가 있는 회사들은 대개 디자인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고 이를 관리하는 UI 디자이너를 따로 채용하고 있다.
◦
그만큼 시간을 단축시키고 문제 해결에 더 집중할 수 있다.
•
잘게 나누어진 담당 파트
◦
UI 디자이너의 작업은 UI 디자인만 한정적으로 수행하면 되기에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를 커버하면서도 더 적은 인원으로 작업이 이뤄질 수 있었다.
◦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더 적은 범위를 깊게 고민해야 하기 때문에 세밀하게 담당 파트를 나눠 ‘설계>디자인>검증’이 반복되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