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자
Individual Contributor
직접적으로 디자인 결과물에 관여하는 사람.
디자이너 커리어의 시작이며 제작에 몰입해 최고의 퀄리티를 만들고 싶을 경우 특정 디자인 영역의 리드 디자이너가 되고, 조직의 규모가 커지고 필요한 역량이 커질 경우 해당 분야를 책임지는 수석 디자이너가 된다.
주니어 프로덕트 디자이너
•
단일 디자인 요소나 작은 영역의 디자인 문제를 해결한다.
•
디지털 프로덕트의 레이아웃을 구성하고 GUI 플로우를 설계한다.
•
시각 경험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고 조직의 디자인 언어 규칙을 따르며 좋은 사례를 통해 배우고 적용한다.
•
논리적으로 자신의 디자인을 설명하고, 성공/실패 회고 혹은 동료의 의견 등 다양한 피드백을 수용하고 성장한다.
프로덕트 디자이너
•
디지털 프로덕트의 경험을 설계해 문제를 해결한다.
•
사용자 프로덕트 경험 전체를 설계하며 시작부터 회고까지 전반적인 영역에 참여한다.
•
프로젝트 목표, 사용자 맥락, 비즈니스 목표를 이해하고 가장 큰 임팩트를 낼 수 있는 해결법을 찾는다.
•
조직의 디자인 언어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으며 더 낫게 개선한다.
•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타 부서와 피드백을 주고 받으며, 같은 팀원들에게 영감을 준다.
시니어 프로덕트 디자이너
•
최고 수준의 프로덕트 경험을 만든다.
•
사용자 중심으로 생각하고, 더 나은 경험을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이해하고 실행한다.
•
시각 경험 혹은 디자인 시스템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 올리며, 실제 프로덕트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관 부서와 협업하며 프로젝트를 리드한다.
•
맡은 영역의 디자인 전략과 방향성을 설정하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예시를 제시한다.
•
대개 1,2명의 하위 디자이너를 코칭하기도 한다.
•
상황에 따라 특정 디자인 제작 영역의 책임을 지는 수석 디자이너(Principal Designer)가 된다.
관리자
Manager
사람과 팀을 관리한다.
디자인 실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팀으로 더 큰 성과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팀에 필요한 역량을 정의하고 팀원을 성장시키거나 새로운 팀원을 채용한다.
일하는 방식과 문화 등 큰 방향성을 정하고 다양한 부서와 소통한다.
팀원 혹은 팀간 갈등을 중재하고 해결하기도 한다.
디자인으로 더 큰 임팩트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을 마련하기 위해 회사를 설득한다.
하이브리드
Player Coach
리드 프로덕트 디자이너와 관리자 역할을 겸한다.
한국 스타트업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형태.
실무를 하면서 만드는 즐거움을 충족하고 팀원의 관점에 공감하면서 팀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일은 많다!)
조직의 규모가 작을 때 가능한 형태로 약 5~6인 이상의 경우 병행이 쉽지 않다.
팀 규모가 커지면 병행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보통 시니어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실무+2~3명의 주니어 관리 업무를 맡으며 팀 매니징 담당자를 따로 배정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