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스타트업을 위한 '실험'과 '가설' 개념 설명

분류
UX/UI
비즈니스
유용함
👍👍👍
2 more properties
스타트업에서는 실험을 강조하는데, 실험이란 말을 잘못 쓰는 경우들이 있다.
실험이란 무엇인가?
몰랐던 것을 알아내기 위해 하는 활동이다.
실험의 중심에는 가설이 있다.
가설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사업, 시장, 고객 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추측이다... 라고 퍼블리에 발행한 글에서 설명했는데, 이건 엄밀히 얘기하면 가설(hypothesis)이라기보다는 가정(assumption)이다.
'가설'이란 말이 보통은 hypothesis와 assumption 두 가지 개념을 모두 가리키는 말로 쓰이는데, hypothesis와 assumption을 구분해서 생각하는 것이 좋다. 가정은 사실이라고 믿는 추측 혹은 추정을 가리킨다. 가설은 그 추측을 실험으로써 반증 가능하게 만든 진술을 가리킨다.
우리가 실험을 하는 것은... 우리가 참이라고 믿는 가정(assumption)을 반증 가능한 가설(hypothesis)로 만들고, 이를 테스트하는 것이다. 가정이 참이라고 믿고 그냥 전면적으로 진행했다가는 팀이 가진 소중한 시간과 자원을 낭비하게 될 수 있으니까.
많이 간과되는 것: making implicit assumptions explict.
우리가 뭔가 액션 아이템에 대해서 생각할 때, 그 밑에 있는 assumption이 여러 가지 있다. 액션 아이템이 성공하려면 그 가정들이 참이 되어야 한다. 묵시적인 가정들을 explicit하게 만들어야 한다. 각각의 가정들이 얼마나 risky한지 평가하자. 그리고 risky한 가정들은 꼭 실험으로써 테스트하자. 테스트할 때는 testable한 형태의 hypothesis로 바꾸자.
그럼 실험을 할 때는 꼭 실험군과 대조군을 설정해서, 통제된 환경에서 해야 할까? 나도 예전엔 그렇게 생각했는데, 꼭 그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실험을 하는 목적은 의사결정에 자신감을 더하기 위한 정보를 얻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생각하면. 어차피 100퍼센트 확신을 갖고 의사결정을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의사결정에 필요한 만큼의 정보(just enough information)만 확보하면 된다.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에 따라서, 가설을 검증하는 (실험) 방법은 달라진다. 변수를 통제한 실험을 해야 할 수도 있고, 유저 인터뷰를 할 수도 있고, 등등. 중요한 것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만큼의 정보, just enough information을 확보하는 것이다.